순환기질환
-
부정맥
- 부정맥은 심장이 정상인에 비해 너무 빠르거나 느리게 또는 불규칙하게 뛰는 것을 말합니다. 심장마비 등 급사의 위험을 높이는 부정맥은 적절한 조치와 예방이 중요합니다.
-
-
- 원인
- 심장의 전기적 신호의 발생과 전달에 이상이 생기면 발생
- - 심장의 선천적인 이상
- - 술, 담배, 카페인 등의 후천적 요인
- - 다른 심장질환 (심근경색, 고혈압 등)
- - 갑상선기능항진증
-
- 증상
- 사람에 따라 다르게 나타나며 심할 경우 급사에 이를 수도 있음
- - 심계항진(두근거림):갑자기 어떤 일로 놀랐을 때처럼, 부정맥의 종류에 따라 빠르거나 느린 심박동을 본인이 느끼는 것
- - 맥이 빠짐
- - 어지러움, 실신, 피로감 : 머리나 몸 전체로 혈액공급이 원활하지 못해 발생하는 증상
- - 호흡곤란
- - 급사
-
- 진단 및 검사
- 대체로 증상이 나타날 때 심전도를 통해 확인
-
협심증
- 심장에 혈액을 공급하는 혈관인 관상동맥이 좁아져서 발생하는 질환으로 혈관면적이 70%이상 좁아지면 증상이 나타납니다. 방치할 경우 심근경색으로 이어져 진단과 치료가 매우 중요합니다.
-
-
- 원인
- 흡연, 고지혈증, 당뇨병, 고혈압, 비만, 운동부족, 스트레스 등
-
- 증상
- 가슴의 정중앙 또는 약간 좌측 부위에 통증을 호소하며 흉통의 지속시간은 대개 5분 이내이고, 30분 이상 지속하는 경우가 없음
-
- 진단 및 검사
- 증상만으로 정확한 진단을 내릴 수 없으므로 심전도 및 심초음파, 운동부하검사 진행
-
심부전
- 심장의 구조적 또는 기능적 이상으로 인해 심장이 혈액을 받아들이는 충만 기능(이완 기능)이나 짜내는 펌프 기능(수축 기능)이 감소하여 신체 조직에 필요한 혈액을 제대로 공급하지 못해 발생하는 질환이며, 고령자의 경우 연령과 연관된 경직화로 인해 더욱 흔하게 발병합니다.
-
-
- 원인
- 심혈관 질환, 심장근육 질환, 고혈압, 심장판막 질환, 음주, 스트레스 등
-
- 증상
- 심혈관 질환, 심장근육 질환, 고혈압, 심장판막 질환, 음주, 스트레스 등
-
- 진단 및 검사
- 호흡곤란, 피로감 등과 같은 심부전의 주관적 증상과 진찰 및 청진 시 이상 징후, 그리고 혈액검사, 흉부 X선 촬영, 심전도 등의 일반적 검사 및 심장 초음파로 심장 기능 이상이 증명되면 심부전을 진단